1. 원예의 의미와 정의
① 원예의 의미
원예(園藝, horticulture. gardening)는 문자적, 어원적으로 본 원예의 의미는 ‘울타리를 둘러싸고 식물을 가꾼다’는 뜻
②원예의 정의
"울타리나 담장으로 에워싼 밭에서 다양한 식물을 심고 가꾼다"
원예는 생활 주변에서(장소), 작은 공간에서(규모), 귀한 식물을(대상) 집약적으로(방식)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2. 원예의 특징과 효과
① 생활원예의 특징
생활원예는 소비적 원예활동으로 장소, 대상, 범위, 목적, 노동의 주체 등에서 생산적 일반원예와는 구별된다.
"생활원예(소비원예)는 주말농장과 같은 형태이고 일반원예(생산원예)는 농사를 말한다."
생활원예는 도시,생활주변에서 작물 선정 범위가 넓고 다양하며 취미, 오락을 추구한다.
일반원예는 농촌과, 밭, 온실에서 작물 선정 범위가 좁고 단순하며 소득과 이익 추구를 한다.
② 생활원예의 효과
생활원예는 식물의 1차(생존), 2차(환경), 3차(관상)적 기능과 효용가치를 이용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1차기능-산소공급, 이산화탄소 흡수, 의식주 약제, 사료 원료 공급
2차기능-기후조절, 홍수방지, 침식방지, 대기정화, 방음, 건축 환경
3차기능-정서안정, 스트레스 해소, 휴식과 오락, 여가선용, 원예치료
생활원예는 정서함양, 질병치료, 여가선용, 환경개선, 건강증진, 구매촉진 등의 효과를 누리며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생활원예는 대상 식물, 소품과 아이디어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 범위가 대단히 넓고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생활원예는 매우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석기시대의 주검에 바친 꽃과 현재의 장례 화훼장식은 생활원예의 긴 역사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3.원예의 범위와 종류
① 생활원예의 종류
식물재배-가꾸기( 난, 잔디, 허브, 야생화, 알뿌리, 분재, 선인장)
가정채소, 가정과수
이용공간-실내원예, 화단원예, 주택정원, 베란다정원, 창문원예, 옥상정원
②생활원예의 종류
-디시가든 (dish garden) : 접시에 담은 정원을 의미한다. 적당한 크기의 접시 위에 정원을 꾸미는 것이다.
-테라리움 (terrarium) : 투명한 용기 안에 흙을 채우고 적절한 식물을 배치하여 꾸미는 정원이다
-비바리움(vivarium) : 반쯤 밀폐된 공간에서 식물과 함께 물고기, 거북, 도마뱀 등과 같은 소동물을 키우는 것을 말한다.
-분경(盆景) : 접시위에 연출한 자연의 풍경으로 식물과 바위와 모래 등을 좀더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디시가든과 다른 점은 분재의 일종으로 비슷한 그릇에 자연의 풍경을 담은 것으로 식물과 함께 바위나 모래 등을 좀더 돋보이게 하는 것
-웨딩부케(Wedding bouquet)
-코사지(corsage) : 하나씩 포장하여 행사 등에 사용하는 꽃
-압화(pressed flower) : 꽃잎을 적당한 방법으로 눌러 사용하는 누름꽃.
-건조화 (dry flower) : 말림꽃이라 하며 말린 꽃잎을 소재로 사용하는 장식이 있다.
-포푸리(potpourri) : 불어로 향기주머니(향낭 또는 향대)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투명한 병이나 쿠션 등에 향기롭고 색깔이 고운 꽃잎이나 허브 잎을 말려 넣고 향기와 함께 색깔을 감상하는 원예이다. 장미, 재스민, 라벤더, 국화 등은 마른 후에도 좋은 향기와 색이 남아 있어 포푸리의 좋은 재료가 된다.
'생활원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⑥ 난의 생태적, 형태적 특징 (0) | 2021.09.21 |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⑤ 잔디의 조성과 관리 (0) | 2021.09.10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④ 잔디의 특징과 종류 (0) | 2021.09.09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③ 원예식물,영양기관,생식기관 형태/구조 (0) | 2021.09.08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② 원예식물의 분류/학명표기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