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원예식물의 분류
① 식물의 분포내역
식물은 크게 고등식물과 하등식물, 유관속식물과 무관속식물, 포자식물과 종자식물, 초본식물과 목본식물, 나자식물과 피자식물등으로 양분할 수 있다.
식물분류학적으로는 선태식물(이끼류), 양치식물(고사리류), 나자식물(소나무류), 피자식물로 분류하며 현존식물의 90% 이상이 피자식물이다.
-선태식물 : 지구에서 최초로 육상생활에 접근한 식물군으로 이끼식물이라고도 부른다. 포자로 번식하며 관속이 발달하지 않는 하등식물이다. 엽록체가 발달하기 때문에 독립영양생활을 한다.
-양치식물 : 선태식물 다음으로 지구상에 등장한 식물군으로 특히 고생대 말엽에 크게 번성하였던 식물이다. 관속이 발달하기 때문에 고등식물로 분류되며 유관속식물의 특징인 뿌리, 줄기, 잎이 발달한다 (예: 고사리류).
-나자식물 : 나자식물은 종자가 겉에 나출되어 있다. 종자는 생기지만 꽃은 불완전하여 은화식물로 분류된다. 꽃과 과실 대신에 포자수, 구화수, 구과(솔방울, cone) 등을 갖고 있다. 대부분 중복수정을 하지 않고 단일수정을 한다. 잎은 침엽이고 엽맥은 평행상이며 목부에는 가도관(헛물관)이 잘 발달한다.
-피자식물 : 피자식물은 종자가 자방 속에 들어 있다. 완벽한 꽃이 피기 때문에 현화식물로 분류된다. 꽃이 피고 중복수정 후 종자가 생기고 자방은 과실로 발달한다. 그래서 과실 안에 종자가 들어있는 모습을 갖춘다.
-숙근초 : 숙근초(rhizocarp)는 겨울에 지상부는 말라죽지만 뿌리만 살아남아 봄이 되면 생장을 되풀이하는 초본식물을 말한다.
피자식물은 다시 자엽의 수에 따라 단자엽식물과 쌍자엽식물로 분류한다. 이들은 자엽수뿐만 아니라 엽맥, 유관속배열, 화분, 근계, 꽃잎수 등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2. 식물의 자연분류
① 학명의 표기
원예식물의 분류방식에는 식물의 유연관계를 기준으로 하는 학술적인 자연분류와 이용상의 편의성을 기준으로 하는 실용적인 인위분류가 있다.
자연분류의 분류계급은 계, 문, 강, 목, 과, 속, 종이며
계급내 ‘아’라는 접두어를 붙이는 계급을 두기도 한다. 최종 분류계급인 종에는, 아종, 변종, 품종 등이 있으며, 종의 학명은 식물명명규약에 따라 속명과 종소명으로 구성된 이명법을 사용한다.
학명표기의 예
아욱과의 무궁화/부용/아욱
무궁화 학명 Hibiscus syriacus L.
부용 학명 Hibiscus mutabilis L.
아욱 학명 Malva verticillata L.
무궁화와 부용은 과 와 속이 같아서 앞의 속이 동일하고
무궁화와 아욱의 속명이 다른것은 과는 같고 속이 다르기 때문이다
속명 뒤의 종소명은 식물의 특별한 고유 특징이기 때문에 동일한 것이 없다
② 식물의 인위분류
인위분류는 대상작물에 따라 화훼, 채소, 과수로 분류한다. 화훼는 일년 초화, 숙근 초화, 구근식물, 관엽식물, 다육식물, 난초, 화목, 관상수 등으로 분류한다. 채소는 엽채류, 근채류, 과채류, 조미채류, 양채류, 과수는 낙엽 온대과수와 상록열대 과수로 구분하고 다시 나무와 과실의 특성에 따라 세분한다.
'생활원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⑥ 난의 생태적, 형태적 특징 (0) | 2021.09.21 |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⑤ 잔디의 조성과 관리 (0) | 2021.09.10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④ 잔디의 특징과 종류 (0) | 2021.09.09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③ 원예식물,영양기관,생식기관 형태/구조 (0) | 2021.09.08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① 원예의 의미/정의/특징/효과/범위와 종류 (0) | 2021.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