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잔디의 조성
① 종자파종
파종 날짜를 정하고 4번에 나누어 사방으로 뿌린다
넓은 지역의 피복이 바람직함
한지형 잔디가 발아가 잘 됨
파종방법, 시기, 파종향 조정
종자의 발아 및 조성 속도가 다음
한지형 잔디는 가을(9월~10월) 최적기
난지형 잔디는 초여름(4월~6월 초) 최적기
② 뗏장 심기
식재 부지를 준비하고 뗏장을 깐다.
빠른 시간 대 질 좋은 잔디 조성 가능
시공 후 즉시 사용 가능하고 잡초 발생이 적음
한지형, 난지형 잔디 모두 적용 가능
피복 비용이 많이 들고 이질층의 상토 형성이 우려됨
2. 잔디 관리
잔디는 사용자의 편의와 보호를 위하여 표면을 견고하게 하고 잔디밭이
탄성이 있어야 한다. 집중적으로 사용해도 견디는 조밀성과 내마모성, 내구성이 필요하다.
비료는 과하지 않게 생육기에 여러 번 나누어 주며 잔디 종류와 관리 정도에 따라 비료의
종류와 사용 시기를 조절한다.
잔디 갱신작업은 배토작업, 코아링과 에이레이션, 스파이킹, 슬라이싱, 버티칼 모잉이 있으며
이는 잔디를 건전한 상태로 되돌려 노화를 억제하고 생장을 유도한다.
물은 가능한 최소한으로 새벽이나 저녁에 주고 가뭄 시에는 잔디 위의 통행을 제한한다.
잡초는 발아 자테를 억제하거나 다년생 잡초는 식물 전체를 사멸해야 하며 품목고시 된 제초제를
사용 용량에 맞추어 안전하게 사용한다.
좋은 잔디밭을 만들고 이용가치를 높이려면 잔디를 주기적으로 깎아주고 관수와 시비는 물론이고 잡초를제거하며 병충해를 방지하는 등의 집약적이고도 섬세한 관리가 필요하다.
'생활원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⑥ 난의 생태적, 형태적 특징 (0) | 2021.09.21 |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④ 잔디의 특징과 종류 (0) | 2021.09.09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③ 원예식물,영양기관,생식기관 형태/구조 (0) | 2021.09.08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② 원예식물의 분류/학명표기 (0) | 2021.09.07 |
생활원예 이론 공부하기 - ① 원예의 의미/정의/특징/효과/범위와 종류 (0) | 2021.09.06 |